본문 바로가기

금융공부/금융상품

[금융상품][K-패스카드] 서울에 기후동행카드가 있다면 전국적으로 K-패스카드가 있다. K-패스 카드 정리

반응형

이전에 기후동행카드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드렸습니다. 하지만 안타깝게도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죠. 이에 대한 대안으로 서울을 포함한 전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인 K-패스카드가 있습니다.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.


🔎 K-패스 카드

K-패스는 국토교통부와 17개 시·도 189개 시·군·구가 함께하는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입니다.

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우, 이용액 중 일부를 적립하여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.

 

주요 혜택

  • 대중교통비 환급: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(버스, 지하철)을 이용하면 이용액의 일정 비율을 적립하여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
  • 전국 이용 가능: K-패스는 전국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으며, 대중교통비의 20%에서 최대 53%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
가입 조건:

  • 만 19세 이상의 국민이면 누구나 이용 가능하며,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K-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 주민만 가입이 가능합니다.

 

이용 방법:

  1. K-패스 카드 발급: 참여 카드사를 통해 K-패스 카드를 발급받습니다. 현재 신한카드, KB국민카드 등에서 K-패스 카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.
  2. 대중교통 이용: 발급받은 K-패스 카드로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합니다.
  3. 적립 및 환급: 월 15회 이상 이용 시, 이용액의 일정 비율이 적립되며, 적립된 금액은 익월 5영업일 이후에 지급됩니다.

참여 카드사 및 혜택:

  • 신한카드: 대중교통 10% 할인, 간편결제 5% 할인 등의 혜택을 제공합니다.
  • KB국민카드: 대중교통 10% 할인, 생활서비스 5% 할인, KB Pay 이용 시 추가 5% 할인 등의 혜택을 제공합니다.

유의사항:

  • K-패스는 사업 참여 대상 지역 거주자만 신청 가능하며, 카드 발급 시 본인 인증 및 거주지 확인이 필요합니다.
  • 적립된 금액은 유효기간 내에 사용해야 하며, 기간이 지나면 소멸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.

K-패스 앱:

K-패스 앱은 Google Play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, 앱을 통해 카드 신청, 이용 내역 조회, 적립금 확인 등을 할 수 있습니다.

 

기후동행카드와 K-패스카드 모두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에게는 무조건 이득일 수밖에 없는 카드입니다. 둘 중에 하나라도 사용한다면 무조건 이득을 취한다고 볼 수 있죠. 하지만 더 많은 이득을 누리려면 자신에게 알맞는 카드가 무엇인지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. 예를들어 경기-서울로 출퇴근하는 사람은 K-패스를 사용하는게 더 유용하겠죠? 이렇듯 금액, 서비스 범위 등을 모두 고려해서 자신에게 알맞는 카드를 사용하시길 바라며 포스팅 마치겠습니다.

 

감사합니다 : )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