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금융공부/주식시장

[주식시장][지표공부] EV/EBITDA, 기업의 정확한 가치평가

반응형

투자지표를 공부할 때, 제일 많이 나오는 용어를 꼽아보라 한다면, 당연 'PER(Price Earning Ratio)'일 것 같습니다. 많은 사람들이 PER 수치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, 기업이 저평가되어 있는지 혹은 고평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이와 함께 많이 사용되는 또다른 지표가 있습니다. 바로 오늘 공부할 [EV/EBITDA] 입니다.

 

EV/EBITDA


EV/EBITDA는 기업가치(EV)를 세전영업이익(EBITDA)으로 나눈 값입니다.

 

EV(기업가치) / EBITDA(세전영업이익)

 

 

EV(Enterprise Value)

  • 시가총액 + 부채 - 현금
  • 기업의 순가치 = 기업 인수에 필요한 금액

EBITDA(Earnings Before Interest, Taxes, Depreciation & Amortization)

  • 이자, 세금, 감가상각비 뺴기 전 기업의 이익
  • 기업의 현금창출 능력

 

 이를 바탕으로 보면, 기입 인수에 필요한 금액을 기업의 현금창출 능력으로 나눈다는 것은 '이 기업을 인수할 때, 이 기업의 이익으로 기업의 가치만큼 벌어들이려면 몇 년이 걸릴까?'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.

 예를 들어, EV/EBITDA = 2이면, 해당 기업의 이익으로 2년 벌면 기업의 가치를 벌어들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. 즉, EV/EBITDA가 낮아야 기업이 현재 평가받는 가치에 비해 많은 영업이익을 올리고 있는 것이기에 EV/EBITDA는 낮을수록 좋습니다.

 

EV/EBITDA가 낮으려면 분자와 분모로 확인할 수 있다.

  1. EV(시가총액 + 부채 - 현금)가 낮다.
    • 부채가 적다.
    • 보유 현금이 크다.
  2. EBITDA가 크다.
    • 영업이익이 크다.

 

EV/EBITDA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.

  1. 기업의 영업능력(잘 버는지)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2. 회계상 왜곡을 줄여 정확한 가치판단이 가능합니다.
    • 세금은 국가마다 다르며 감가상각비 역시 다르기 때문에 이를 제외해야 순수하게 판단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.

 

따라서, EV/EBITDA가 낮으면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이 가능하다. 이는 좋은 매수신호다!

오늘의 필기

 

감사합니다 : )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