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금융공부/금융상품

[24.09.05] 적금과 예금

반응형

 "돈 관리 해야지" 하면 어김없이 항상 먼저 생각나는 단어들이 있다. [적금][예금]입니다.

적금과 예금이 무엇인지, 언제 어떤 상품이 내게 유리한 것인지를 이해하고 투자, 재테크를 해야 합니다.

 

적금과 예금의 가장 큰 차이는 

  • 납입 방법
  • 금리

두 가지로 들 수 있습니다.

 

1. 예금

예금은 일정 기간동안 원하는 금액을 한 번에 은행에 맡기고 이에 대한 이자를 받는 금융상품입니다.

주로 한동안 쓰지 않아도 되는 목돈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이자를 받기 위해 예금을 이용하곤 합니다.

 

이 예금에는 정기예금보통예금으로 두 개의 방식이 있습니다.

  1. 정기예금: 일정금액을 정해진 기간동안 1번 납입한 이후 찾지 않는 조건으로 계약하는 상품입니다. 이는 입출금이 제한적이지만 보통예금보다는 높은 이자율을 제공합니다.
  2. 보통예금: 일반통장과 같이 자유로운 입출금이 허용되지만 이에 따라서 정기예금보다는 낮은 이자율을 제공하는 상품입니다.

 

 

2. 적금

적금은 일정 기간동안 기간 내 매달 정해진 금액만큼 불입하고, 기간 만료 후에 원금 + 이자를 받는 금융상품입니다.

주로 적은 돈으로 시작하고 매달 정기적으로 넣으면서 목돈을 마련하기 위해 이용하곤 합니다.

 

이 적금에는 정기적금자유적금으로 두 개의 방식이 있습니다.

  1. 정기적금: 정해진 일정 금액을 약속한 기간동안 매달 납입하는 적금방식
  2. 자유적금: 적립 금액을 원하는대로 자유롭게 납입하는 방식. 자유도에 따라 정기적금에 비해 금리가 낮음

적금은 매달 납입하기 때문에 매달 납입한 금액에 대해서 금리를 다르게 적용합니다. 예를 들어, 1년짜리 적금을 매달 납입할 경우, 첫 달에 납입한 금액에 대해서는 12개월의 금리, 그 다음 달에 납입한 금액에 대해서는 11개월의 금리가 적용되는 것입니다.

 

둘의 금리 적용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가볍게 아래 사진을 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.

예금,적금 금리 비교

 어찌보면 당연할 수 있습니다. 적금은 조금씩 나눠서 은행에 납입하니까 이에 대해서 천천히 준만큼 이자를 더 조금만 받을 수 있게 하는 거죠. 그래서 예금과 적금 상품에서 동일한 금리를 제공한다고 표현되어 있어도 둘이 같은 이자를 제공하지는 않는 거죠. 8%, 10%와 같은 금리의 적금 상품이 나오지만 예금이 나오지 않는 이유이기도 합니다.

 따라서, 우리는 상품을 볼 때, 얼마를 넣고 기간과 금리에 따라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해보고 상품을 선택해야 합니다.

 다음 글에서는 이자 계산과 관련한 글을 쓰겠습니다.

 

감사합니다 : )

반응형